2017년이 밝은지 꽤 됐고,


앞으로 부동산 경기가 어떻게 될지..

투자를 해야할지...

아님 현금으로 유동해야할지...


고민하시는 분들이 많은 가운데 긍정 또는 비판적인 생각을 할 수 있는 글이라 여겨져 이렇게 요약해보았습니다.

아무쪼록 자산이 증식되는 2017년이 되시길 바랍니다.


​이하 원문 요약본...

​11.3 청약관련 규제, 금리인상, 정치적 혼란 등으로 후폭풍이 클 수 밖에 없는 상황

그에 따른 가계 부채와 부실채권이 쌓이고 있고 부동산 버블불괴가 걱정되는 현실


하지만 ok!!! 완전 심각한 건 아닌 듯...

Why????


1. 미국의 금리가 인상한다고 하더라도 내수경제 회복을 위해 단번에 저금리 기조가 바뀌지는 않을 듯.

   그래서 갈데 없는 자본이 그래도 안전자산이라고 생각되는 부동산에 맴돌 것이라고 예상됨.


2. 2017년 39만여 가구의 아파트가 공급되는데, 지난 2~3년간 입주물량 부족에 따른 임대시장 불안이

   있었기에 꽤 주택에 대한 수요가 있다고 생각됨.

   또, 야당(더민주, 국민의당 정의당 등) 후보가 대통령이 된다면 세입자 위주의 정책이 펼쳐질 것이므

   로 2018년 부동산 시장이 더 어려워질 수도 있음.


3. 자신의 경험에 비추어보면 시장침체기가 기회라고 봄.

   그 이유로는 2002, 2009 경제 침체기 이후 3~4년 뒤 다시 호황이 왔기 때문이라고 함.

   다만, 경제양극화가 심해지는 상황에서 고급상품에 투자하고, 역세권 환승권 등지의 임대주택에 관

   심을 가지며, 귀농 귀촌 계층과 관광객 급증을 고려한 게스트 하우스에도 신경을 써라고 함.



개인적인 감상....


막상 글을 정리해보니 팩트보다는 자신의 경험에 비춘듯한 예상이 많다.

하지만, 박사가 허울은 아니겠지??? 라고 생각하며 어느정도 이 분의 의견을 숙고해보기로 하겠다.


출처 : 부동산114


 

블로그 이미지

농새

,